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증시339

2024년 01월 03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430.19 ▼284.85 (-0.76%) S&P500 4,704.81 ▼38.02 (-0.80%) NASDAQ 14,592.21 ▼173.73 (-1.18%) 미국 증시, 기술주 4일 연속 하락, FOMC 의사록 소화하며 하락 마감.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며 4%대 안착을 시도하는 가운데 최근의 상승이 너무 빠르다는 우려 속에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의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미국 증시 하락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26%, S&P 500 0.50%, 나스닥 0.75%(09:33 EST 기준) 하락.오전장 미국 증시, 연준이 내놓을 수 있는 금리 인하 폭을 과대평가했다는 우려에 따라 수요일 2회 연속 하락하며 고공행진 중인 기술주에서 매도세를 확대하는 .. 2024. 1. 4.
2024년 01월 02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715.04 ▲25.50 (+0.07%) S&P500 4,742.83 ▼27.00 (-0.57%) NASDAQ 14,765.94 ▼245.41 (-1.63%) 국채 수익률 반등 속에 대형 기술주 하락하며 미국 증시, 혼조세로 한 해를 시작 2024년 첫 거래일 미국 증시, 국채 수익률 반등 속에 대형 기술주가 주도하면서 하락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25%, S&P 500 0.52%, 나스닥 0.93%(09:33 EST 기준) 하락. 오전 거래시간 달러 강세를 동반하며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3.9%대에서 상향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장 하락을 주도한 애플 주가는 바클레이즈가 아이폰 판매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주가를 하향 조정한 후 하락, 마이크로소.. 2024. 1. 3.
2023년 12월 29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689.54 ▼20.56 (-0.05%) S&P500 4,769.83 ▼13.52 (-0.28%) NASDAQ 15,011.35 ▼83.78 (-0.56%) 과 매수 국면에서 숨 고르기 하면서 미국 증시, 소폭 하락하며 한 해를 마감 투자자들이 가파른 하락세와 갑작스러운 대규모 랠리를 보인 격동의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미국 증시, 보합세를 보이며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04%, S&P 500 0.01%, 나스닥 0.02%(09:33 EST 기준) 소폭 상승. 2023년 다우 13.8%, S&P 500 24.6%, 나스닥 44.2% 연간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낙관적인 분위기와 산타 랠리에도 불구하고 S&P 500은 여전히 2022년 1월.. 2023. 12. 30.
2023년 12월 28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710.10 ▲53.58 (+0.14%) S&P500 4,783.35 ▲1.77 (+0.04%) NASDAQ 15,095.14 ▼4.04 (-0.03%) 미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지속되며 미국 증시 보합세로 마감 미국 경제 연착륙 및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지속, 이에 뉴욕 증시 상방 압력을 가중하며 S&P 500은 역대 최고점인 4,796선에 근접한 상황. 개장 직후 다우와 나스닥 각각 0.21%, 0.19% 상승 출발(09:35 EST 기준). 내년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으로 10년 물 국채 금리는 전일 3.8%를 하회하는 수준까지 하락하기도 하였으며 채권 및 주식에 대한 투자 심리가 연일 고조. 이에 일각에서는.. 2023. 12. 29.
2023년 12월 27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656.52 ▲111.19 (+0.30%) S&P500 4,781.58 ▲6.83 (+0.14%) NASDAQ 15,099.18 ▲24.60 (+0.16%) 향후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시현하던 증시 움직임을 소화시키며 강보합세로 장을 마감. S&P500 지수가 지난해 1월 3일에 기록한 사상 최고치인 4,796선을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상승폭에 대해 숨 고르기를 하며 혼조세로 장을 시작. 이에 개장 직후 다우지수는 0.04% 소폭 하락, 반면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 0.06%, 0.21% 소폭 상승 출발(09:33 EST 기준). 뉴욕 3대 지수 모두 지난 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현재 시장에서는 미국의.. 2023. 12. 28.
2023년 12월 26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545.33 ▲159.36 (+0.43%) S&P 500 4,774.75 ▲20.12 (+0.42%) NASDAQ 15,074.57 ▲81.60 (+0.54%) 연말 산타 랠리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으로 뉴욕 3대 지수 모두 소폭 상승. 올해 마지막주 산타랠리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상승하며 장초반 매수세가 유입, 증시 상승을 지지하는 모습. 이에 개장 직후 다우 0.11%, S&P 500 0.22%, 나스닥 0.38%가량 소폭 상승 (09:35 EST 기준).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증시 상승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S&P500 지수는 8주 연속 오름세를 시현. 전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인 로버트 카플란은 CNBC와의 .. 2023. 12. 27.
2023년 12월 22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385.97 ▼18.38 (-0.05%) S&P 500 4,754.63 ▲7.88 (+0.17%) NASDAQ 14,992.97 ▲29.11 (+0.19%) 미국 증시, 인플레이션 지표 완화, 개인 소비 지출 증가에 따른 피벗 베팅 속 혼조세 미국 증시,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내년 금리 인하 예정 전망을 강화한 후 상승세로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02%, S&P 500 0.32%, 나스닥 0.36% 상승(09:33 EST 기준). 11월 개인 소득은 예상치와 부합하는 전월 대비 0.4% 증가. 11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예상치와 부합하는 0.1% 하락, 전년 동기 대비 예상치 2.9%를 하회하는 2.6% 증가. 핵.. 2023. 12. 23.
2023년 12월 21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404.35 ▲322.35 (+0.87%) S&P 500 4,746.75 ▲48.40 (+1.03%) NASDAQ 14,963.87 ▲185.92 (+1.26%) 미국 증시, 소비자 지출 감소 반영하는 GDP 데이터에 급락 하루 만에 반등 미국 증시, 경기 연착륙을 시사하는 경제 데이터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확고해지면서 상승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75%, S&P 500 0.84%, 나스닥 1.13% 상승(09:33 EST 기준),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3.3bp 하락한 3.844%(09:45 EST 기준)를 기록.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 세 번째 추정치는 이전 추정치 5.2%를 하회하는 연율 4.9%로 소비자 지출 감소를 반영. 지난주.. 2023. 12. 22.
2023년 12월 20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082.00 ▼475.92 (-1.27%) S&P 500 4,698.35 ▼70.02 (-1.47%) NASDAQ 14,777.94 ▼225.28 (-1.50%) 미국 증시, 경기 연착륙 가능성 재고하면서 차익 실현 매도세로 큰 폭 하락 미국 증시, 경기 침체 우려가 금리 인하 낙관론을 상쇄함에 따라 사상 최고치에서 하락하면서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21%, S&P 500 0.19%, 나스닥 0.11% 하락(09:33 EST 기준). 오전장 영국의 11월 인플레이션이 예상치 않게 10월의 4.6%에서 3.9%로 둔화되었다는 소식이 금리 인하 기조로의 전환 희망을 높였고, 미국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3.9%대 초반에서 하향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부진.. 2023.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