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05

2024년 01월 22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8,001.81 ▲138.01 (+0.36%) S&P500 4,850.43 ▲10.62 (+0.22%) NASDAQ 15,360.29 ▲49.32 (+0.32%) 미국 증시, 과매수 논란 속, 경제 데이터와 주요 기업 실적 기다리며 상승 마감.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4.093%(09:30 EST 기준)로 지난 금요일 4.145%보다 5.2bp 하락한 가운데 미국 증시, 탄력적인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가 위험 선호 심리를 강화하면서 상승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35%, S&P 500 0.40%, 나스닥 0.65%(09:33 EST 기준) 상승. 12월 미국 경기선행지수는 예상치 -0.3%을 상회하는 -0.1%를 기록, 2022년 3월 마이너스.. 2024. 1. 23.
2024년 01월 22일 코스피 선물 수급데이터 2024년 01월 22일 자료 1. 주의사항 첨부파일 열람 시'편집 사용' 닫기 '업데이트하지 않음' 닫기 '매크로차단' 닫기 본 첨부파일은 안전한 문서임 2. 안내사항 KOSPI200 선물의 분단위(분봉) 수급데이터가 제공됨 매수/매도 거래량을 실시간으로 추적(Tracking)하여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 해당 Raw데이터를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방향성 매매전략을 세울 수 있음 스켈핑(Scalping) 전략에 활용 2024. 1. 22.
2024년 01월 19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863.80 ▲395.19 (+1.05%) S&P500 4,839.81 ▲58.87 (+1.23%) NASDAQ 15,310.97 ▲255.32 (+1.70%) 미국 증시, 연착륙 베팅이 지배하면서 기록적인 상승으로 마감. 미국 증시, 전일에 이어 기술주가 주도하며 S&P 500이 사상 최고치에 가까워지면서 상승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30%, S&P 500 0.24%, 나스닥 0.36%(09:33 EST 기준) 상승. 12월 기존 주택 판매는 1% 하락한 378만 채를 기록. 1월 소비자 심리지수는 전월 69.7로부터 78.8로 급상승, 2021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소비자 심리 지수 발표 이후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4.191%(10:10 .. 2024. 1. 20.
2024년 01월 19일 코스피 선물 수급데이터 2024년 01월 19일 자료 1. 주의사항 첨부파일 열람 시'편집 사용' 닫기 '업데이트하지 않음' 닫기 '매크로차단' 닫기 본 첨부파일은 안전한 문서임 2. 안내사항 KOSPI200 선물의 분단위(분봉) 수급데이터가 제공됨 매수/매도 거래량을 실시간으로 추적(Tracking)하여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 해당 Raw데이터를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방향성 매매전략을 세울 수 있음 스켈핑(Scalping) 전략에 활용 2024. 1. 19.
2024년 01월 18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468.61 ▲201.94 (+0.54%) S&P500 4,780.94 ▲41.73 (+0.88%) NASDAQ 15,055.65 ▲200.03 (+1.35%) 높은 국채 수익률 불구, 기술주가 주도하며 미국 증시 상승 미국 증시, 실업수당 청구 건수 급락으로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는 가운데 다우는 주가 반등 시도에 고전하고, 나스닥은 TSMC 4분기 실적 호조로 상승하면서 혼조세로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16% 하락, S&P 500 0.40%, 나스닥 0.93% 상승(09:33 EST 기준).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08,000건까지 상승 예상과 달리 그 이전주 대비 16,000건 감소한 187,000건으로 1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노동 시장의 회.. 2024. 1. 19.
2024년 01월 18일 코스피 선물 수급데이터 2024년 01월 18일 자료 1. 주의사항 첨부파일 열람 시'편집 사용' 닫기 '업데이트하지 않음' 닫기 '매크로차단' 닫기 본 첨부파일은 안전한 문서임 2. 안내사항 KOSPI200 선물의 분단위(분봉) 수급데이터가 제공됨 매수/매도 거래량을 실시간으로 추적(Tracking)하여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 해당 Raw데이터를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방향성 매매전략을 세울 수 있음 스켈핑(Scalping) 전략에 활용 2024. 1. 18.
2024년 01월 17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266.67 ▼94.45 (-0.25%) S&P500 4,739.21 ▼26.77 (-0.56%) NASDAQ 14,855.62 ▼88.73 (-0.59%) 강한 경제 데이터에 국채 수익률 상승, 금리 인하 낙관론 후퇴하며 미국 증시, 2일 연속 하락 마감 실망스러운 중국의 GDP, 미국의 12월 소매 판매 호조와 영국의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낙관론이 꺾인 후 10년 물 국채 수익률이 4.096%(09:30 EST 기준)로 3bp 가량 상승하면서 미국 증시, 하락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26%, S&P 500 0.76%, 나스닥 1.24%(09:33 EST 기준) 하락. 2023년 중국 GDP는 전년 대비 5.2% 성장하는데 그쳤고, 미.. 2024. 1. 18.
2024년 01월 17일 코스피 선물 수급데이터 2024년 01월 17일 자료 1. 주의사항 첨부파일 열람 시'편집 사용' 닫기 '업데이트하지 않음' 닫기 '매크로차단' 닫기 본 첨부파일은 안전한 문서임 2. 안내사항 KOSPI200 선물의 분단위(분봉) 수급데이터가 제공됨 매수/매도 거래량을 실시간으로 추적(Tracking)하여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 해당 Raw데이터를 활용해서 실시간으로 방향성 매매전략을 세울 수 있음 스켈핑(Scalping) 전략에 활용 2024. 1. 17.
2024년 01월 16일 미국장 마감 U.S. Market Closing DOW 37,361.12 ▼231.86 (-0.62%) S&P500 4,765.98 ▼17.85 (-0.37%) NASDAQ 14,944.35 ▼28.41 (-0.19%) 금리 인하 낙관론을 잠재우려는 시도로 인해 국채 수익률 급등하며 미국 증시, 하락 마감 투자자들이 은행 수익을 주시하면서 미국 증시, 하락 출발. 개장 직후 다우 0.44%, S&P 500 0.36%, 나스닥 0.32% 하락(09:33 EST 기준). 뉴욕 연준의 제조업 지수는 12월의 -14.5에서 1월 -43.7로 크게 하락,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 기록, 경제 위축을 보여줌. 미국과 유럽의 중앙은행 관계자들의 금리 인하 낙관론을 잠재우려는 시도로 인해 4%대를 넘어선 10년 물 국채 수익률.. 2024.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