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S. Market Closing
DOW 
38,647.10 ▼65.11 (-0.17%)
S&P500 
5,433.74 ▲12.71 (+0.23%)
NASDAQ 
17,667.56 ▲59.12 (+0.34%)
★ 금리 인하 낙관론과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미국 증시, 혼조세로 마감
- 전일의 5월 CPI에 이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난 5월 PPI와 실업수당 청구건수 증가에 국채 수익률 4.3%대 아래로 하락하며 미국 증시, 혼조세로 출발.
 - 개장 직후 다우 0.39% 하락, S&P 500 0.26% 나스닥 0.63% 상승(09:33 EST 기준).
 - 10년 물 국채 수익률은 4.276%(09:30 EST 기준)에 거래되면서 4.7bp 하락, 국제 유가는 상승.
 - 5월 PPI는 전월의 0.5% 상승 대비 예상치 0.1% 상승을 큰 폭 하회하는 0.2% 하락, 전년 동기 대비 예상치 2.5%를 하회하는 2.2% 상승.
 - 핵심 PPI는 전월 대비 예상치 0.3%를 하회하는 보합, 전년 동기 대비 3.2% 상승.
 -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노동시장 완화를 시사.
 - 금리 인하 낙관론과 경제 성장 둔화 우려로 다우는 낙폭을 늘려갔고 S&P 500은 장 초반 손실 영역으로 진입, 나스닥은 상승폭을 축소하며 혼조세.
 - 오후장 초반 나스닥도 잠시 손실 영역으로 접어들었으나 국채 수익률 하락에 따른 기술주 상승이 장세를 떠받치며 이내 미국 증시, 반등세를 보임.
 - 다우는 낙폭을 꾸준히 줄여 나갔고 S&P 500과 나스닥은 오후장 초·중반 이익 영역으로 진입, 상승폭을 늘려감.
 - 다우는 소폭 하락하며 3일 연속 하락, S&P 500과 나스닥은 4회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하며 마감.
 
반응형
    
    
    
  '미국증시 마감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4년 06월 17일 미국장 마감 (0) | 2024.06.18 | 
|---|---|
| 2024년 06월 14일 미국장 마감 (0) | 2024.06.15 | 
| 2024년 06월 12일 미국장 마감 (0) | 2024.06.13 | 
| 2024년 06월 11일 미국장 마감 (0) | 2024.06.12 | 
| 2024년 06월 10일 미국장 마감 (0) | 202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