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물옵션투자이론

6. 선물계약의 규정

by U_sher 2023. 11. 6.
반응형

신규 선물계약을 개발할 때, 거래소는 거래쌍방 간의 정확한 합의내용을 명시해야 한다. 특히 기초자산, 계약규모(1 계약의 크기), 인도장소, 인도일자 등을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때로는 인도자산의 등급 또는 인도장소 등에 대해 몇 개의 대안을 명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매도포지션을 취한 거래자(자산매도 약속자)가 이들 대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게 보통이다. 매도포지션을 취한 거래자가 인도할 준비를 완료할 때, 그는 거래소에 인도의사 고지서(notice of intention to deliver)를 제출한다. 인도의사 고지서에는 인도할 자산의 등급과 인도장소가 명시된다.

 

6.1 자산

자산이 상품일 때, 시장에서 이용 가능한 자산의 질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래소가 자산을 명시할 때, 받아들일 수 있는 상품의 등급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Intercontinen-talExchange(ICE)는 오렌지주스 선물계약에서 자산을 당도가 62.5 브릭스(Brix) 이상이고 미국 기준 A등급인 냉동 농축 오렌지주스로 명시하고 있다.

일부 상품의 경우 상품의 등급을 범위로 정할 수 있는데, 이때 가격은 매입자가 선택한 등급에 따라 조정된다. 예를 들어 CME 그룹에서 거래되는 옥수수선물의 표준등급은 "No. 2 Yellow"이다. 그런데 이와는 다른 옥수수선물이 거래소에서 따로 정한 가격으로 거래되기도 한다. NO. 1 Yellow는 NO. 2 Yellow보다 부셸당 1.5센트 비싼 가격으로 인도 가능하다. NO. 3 Yellow는 NO. 2 Yellow보다 부셸당 1.5센트 싼 가격으로 인도 가능하다.

상품선물과는 달리 금융선물의 인도자산은 일반적으로 그 내용이 명확하다. 예를 들어 일본 엔화의 등급을 명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장기국채선물(Treasury bond futures)과 중기국채선물(Treasury note futures)은 다소 흥미로운 특색을 갖고 있다. 장기국채선물의 기초증권은 만기가 15년 이상이고, 15년 이내에는 수의 상환되지 않는(not callable) 장기국채이다. 그리고 중기국채선물의 기초증권은 만기가 6.5년 이상 10년 이하의 중기국채이다. 거래소는 기초증권의 이자지급일과 만기일에 따라 기국채선물의 가격을 조정한다.

 

6.2 1 계약의 규모

1 계약의 1 계약의 규모란 선물 1 계약의 인도금액을 말한다. 1 계약의 규모를 얼마로 하는가는 거래소의 중요 결정사항이다. 만일 1 계약의 규모가 너무 크면, 상대적으로 작은 위험을 헷지 하기를 원하거나 또는 작은 투기적 포지션을 취하고자 하는 많은 투자자가 거래소를 이용할 수 없다. 반면에 1 계약의 규모가 너무 작으면, 거래계약의 수가 많아져서 거래비용이 많이 든다.

1 계약의 규모는 선물계약별로 다르다. 즉 농산품선물의 1 계약 금액은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에 걸쳐 있는 반면에, 금융선물의 1 계약 금액은 이보다 훨씬 많은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장기국제신물의 1 계약 급액은 10만 달러에 이르고 있다.

어떤 경우에 거래소는 소액투자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소규모(mini)"의 계약을 내놓기도 한다. 예를 들어 CME 그룹의 미니 나스닥(Mini Nasdag) 100 선물은 지수에 100을 곱하는 것이 아니라 20을 곱해서 거래되는 선물이다.

 

6.3 인도조건 합의

거래소는 자산의 인도장소를 명시하여야 한다. 자산의 인도장소를 명시하는 것은 특히 운송비용이 문제가 되는 상품선물에서 중요하다. ICE 냉동 농축 오렌지주스 선물계약의 경우, 인도장소는 플로리다, 뉴저지 또는 델라웨어에 있는 거래소가 인정한 창고이다. 인도장소가 여러 개 제시될 때, 매도포지션 거래자의 매도가격은 거래상대방이 어느 인도장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조정되기도 한다. 인도장소가 상품의 주생산지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질수록 가격은 높아진다.

 

6.4 인도월

선물계약은 인도월로 분류된다. 거래소는 인도될 수 있는 정확한 기간을 명시해야 한다. 많은 선물계약에 있어서 인도기간은 월 전체이다. 자산 인도월을 언제로 할 것인가는 선물계약에 따라 다르다. 거래소는 시장참여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인도월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CME 그룹에서 거래되는 옥수수선물의 인도월은 3월, 5월, 7월, 9월 그리고 12월이다. 특정시점에서 거래되는 선물은 가장 가까운 인도월을 갖는 선물과 후속되는 인도월을 갖는 몇 개의 선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거래소는 특정 인도월의 선물계약이 언제부터 거래되는가를 명시한다. 또한 거래소는 특정 인도월의 선물계약이 체결될 수 있는 마지막 날도 명시한다. 일반적으로 선물거래는 인도가 가능한 최종일의 며칠 전에 종료된다.

 

6.5 가격공시

거래소는 선물가격을 공시하는 방법을 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원유의 선물가격은 배럴당 달러와 센트로 공시한다. 장기국채와 중기국채의 선물가격은 달러와 달러/32의 형태로 공시한다.

 

6.6 가격 제한과 포지션 제한

대부분의 거래소는 선물의 일일 가격변동 제한폭(daily price movement limits)을 명시하고 있다. 선물가격이 일일 가격변동 제한폭까지 하락하면 가격이 하한폭(limit down)까지 하락했다고 부르며, 선물가격이 일일 가격번동 제한폭까지 상승하면 가격이 상한 폭(limit up)까지 상승했다고 부른다. 또한 제한폭 변동(limit move)이란 선물가격이 일일 제한폭까지 오르거나 내린 것을 의미한다. 공식적으로는 일단 선물가격이 상한 폭 또는 하한폭까지 변동하면, 그날 하루의 선물거래는 거기서 중지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거래소가 시장에 개입해서 가격 제한폭을 변경시킬 권한을 갖기도 한다.

일일 가격변동 제한폭을 둔 목적은 투기로 인한 심한 가격변동을 방지하는 데 있다. 그러나 가격제한제도는 기초상품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락할 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선물거래까지도 인위적으로 막는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따라서 가격제한제도가 선물시장에 유익한가는 아직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포지션 한도(position limits)란 투기자가 취할 수 있는 최대의 선물계약수를 의미한다. 한도를 정하는 목적은 투기자들의 지나친 시장영향력 행사를 막아보자는 데에 있다.

 

6.7 포지션의 마감

체결된 대다수의 선물계약은 인도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다수의 투자자가 명시된 인도기간 이전에 선물계약포지션을 마감하기 때문이다. 포지션 마감이란 당초 포지션과 반대의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월 5일에 7월 만기 옥수수선물 1 계약을 매입했던 뉴욕의 투자자는 4월 20일에 7월 만기 옥수수선물 1 계약에 매도계약을 체결함으로써 포지션을 마감할 수 있다. 3월 5일에 7월 만기 옥수수선물 1 계약을 매도했던 캔자스의 투자자는 5월 25일에 7월 만기 옥수수선물 1 계약에 매입계약을 체결함으로써 포지션을 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투자자의 총손익은 3월 5일과 계약이 마감되는 날 사이의 선물가격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인도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거래자들은 간혹 인도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잊는 경우가 있다. [실무사례 6.1]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물계약의 인도절차를 설명했다. 왜냐하면 선물가격이 현물가격과 연관성을 갖는 것은 기초자산이 궁극적으로 인도될 수 있는 가능성 때문이다.

 

실무사례 6.1선물계약의 기대치 못한 인도


재무분야에서 일한 경험이 없는 금융기관의 신입직원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그 금융기관의 고객 한 사람은 헷징을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생우 선물계약에 매입포지션을 취하고 마지막 거래일에 그 포지션을 마감하도록 지시하였다.(생우 선물계약은 시카고상업거래소에서 거래되며, 1계약은 생우 40,000파운드에 해당). 신입직원이 이 거래를 관리하였다.


계약을 마감해야 할 시간이 되었을 때, 이 직원은 그 고객이 1계약을 매입하고 있는 것을 알고도 거래소 거래자에게 1계약을 추가 매입할 것(매도하지 않고)을 지시했다. 이런 실수로 금융기관은 생우선물 2계약에 매입포지션을 취한 채 거래를 마감했다. 실수를 알아차렸을 때, 선물거래는 끝나 있었다. 금융기관(고객이 아니라)이 이 실수에 대해 책임이 있었다. 그 결과 생우선물에 대한 세부적인 인도절차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는 이전에는 전혀 경험해보지 못한 사건이었다. 계약조건에 따르면 매도포지션을 취한 당사자는 생우를 인도월 기간 중에 미국의 수많은 다른 지역으로 인도할 수 있었다. 매입포지션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은 매도포지션을 취한 당사자가 거래소에 인도의사 고지서를 발행하고 거래소가 금융기관에 그 고지서를 배정할 것을 기다리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결국 금융기관은 거래소로부터 고지서를 받고 다음 화요일에 2,000마일 떨어진 장소에서 생우를 받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신입직원은 일을 처리하기 위해 그곳으로 파견되었다. 그곳에서는 매주 화요일에 생우 경매가 있었다. 인도책임이 있는 매도포지션 당사자는 경매시장에서 생우를 사서 즉시 인도하였다. 불행히도 인도된 생우는 다음 주 화요일에나 열리는 경매시장에서 되팔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신입직원은 일주일 동안 생우의 거처를 마련하고 먹이를 주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이것이 재무분야에서 그가 시작한 첫번째 업무였다.

반응형

'선물옵션투자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일일정산과 증거금  (0) 2023.11.06
7.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수렴  (0) 2023.11.06
5. 파생상품의 위험성  (0) 2023.11.06
4. 거래자 유형  (1) 2023.11.06
3. 옵션(Option)  (0) 2023.11.05